-
IT 트렌드 읽는 습관: 기술의 흐름을 읽고 이용하는 법Book 2023. 11. 13. 12:14
2023.11.13(월)
- 기술은 기술이 갖고 있는 혁신성보다 사람들에게 얼마나 친숙하고 쓸모 있느냐로 기술의 미래가 판가름 난다.
- 특정 키워드가 눈에 띄기 시작하면 잠시지만 해당 키워드가 앞으로도 계속 나올 것인지 아니면 잠깐 등장하고 말 것인지를 생각해본다.
- 키워드의 의미 이해도 중요하지만 해당 키워드가 산업, 기업, 사회, 사용자 중 어느 영역에 해당하며, 누구를 위해 사용되는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등을 다각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경제에 대해 알고 싶어서 평소에 뉴스를 읽고 있긴 한데, IT도 역시나 중요하구나... 생각하게 된다. 분야 편식하지 말고 찾아봐야지.
2023.12.13(수)
- 뉴스에서는 이것저것 정보를 습득하고, 보고서에서는 지식을 체계화를 하고, 책에서는 통찰력을 얻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 기술 자체에만 시선이 머물러서는 안 되고, 기술이 가져다주는 가치와 영향을 폭넓은 시선으로 진단해야 한다.
- 전문가의 말을 해석할 때는 정보인지 지식인지를 구분해서 내용 이해를 한다. 정보는 사실을 말하고 지식은 주관적인 의견을 뜻한다.중요한 건, 무엇을 읽고 보는지를 떠나서 내 식견을 얼마나 잘 정리하고 다듬어가는가 인것 같다.
2023.12.14(목)
- 트렌드가 거대 패러다임으로 전환될 때, 기존의 큰 기업이 주도하기보다 작은 스타트업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 인수되는 기업과 인수하는 기업을 보게 되면 실제 무엇에 돈이 몰리고 그래서 앞으로 무엇이 주목받을지 가장 직접적으로 볼 수 있다.
- IT 기술이 시장에서 최종적으로 선보이는 방식은 결국 상품을 통해서다.트렌드와 기술을 통해 바라봐야 하는 것은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어떤 식으로 기술을 활용해 돈을 버는지, 얼마나 비즈니스 모델을 다각화하여 이윤을 창출해내는지 파악하는 것도 중요.
2023.12.15(금)
- 사용자 리서치를 할 때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가 아니라 "어떻게 행동하십니까?"라고 물어야 정확한 조사가 된다.
- 세상이 바뀐 것 같다는 착각은 결국 내가 보고 싶은 것만 보게 한다. 일부러라도 새로운 서비스를 거부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의 생각을 읽고 이들이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따져봐야 한다.
- 시장은 기술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상품을 선택한다. 그렇기에 기술이 적용된 상품이 실제 시장에서 어떤 평가를 받는지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
- 핵심은 시장의 선택을 받는 조건을 아는 것이다.기술 만능주의에 빠지지 않도록 경계할 것. 결국 시장은 기술이 아닌 상품을 선택한다. 아무리 좋은 기술도 상품으로써 발전되지 못하고 솔루션을 제공하지 못해 시장의 선택을 받지 못하면 트렌드가 되지 못하고 지고 만다.
2023.12.18(월)
- 메모는 낱개의 점이지만, 메모가 쌓이게 되면 점과 점이 연결되는 선이 되고, 선을 모으면 면으로 발전한다. 면은 거대한 트렌드이다.
- 체험과 경험만큼 특정 트렌드를 이해하기 좋은 방법은 없다. 그리고 써보아야 비즈니스에 어떻게 응용할지 아이디어가 나온다.
- 기술 트렌드를 전망할 때 내가 자주 사용하는 관점 중 하나는 누가, 왜, 무엇을, 어떻게, 언제, 어디서 라는 5W1H 질문을 던지는 방법이다.트렌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메모하는 습관을 가지기. 마인드맵을 활용해서 다양한 프레임으로 내용을 바라보기. 그리고 마음껏 상상하고 근거를 들어 이성적으로 뜯어보기.
2023.12.24(일)
- 틀리게 답한다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대신 우리가 중요하게 챙겨야할 것은 잘못 판단한 이유다. 이를 철저히 분석하지 않으면 안 된다.
- 하드웨어-네트워크-소프트웨어의 세 가지 관계는 거대한 변화를 만드는 촉매제 역할을 한다. 각각의 기술이 비슷한 시기에 출연해 서로를 필요로 하며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가 출연할 때 우리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목도했다.
- 트렌드를 만드는 기술이라고 해서 꼭 새로운 기술, 최신의 고급 기술일 필요는 없다. 이미 한물간 기술이라 하더라도 사람들의 니즈를 해결해준다면 언제든 다시 트렌드가 될 수 있다.트렌드를 100% 정확히 예측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신 중요한 것은 잘못된 예측을 한 이유를 찾는 것. 그리고 그것을 잘 기억해두며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 것.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미술은 진짜 모르겠더라 : 난해한 현대미술을 이해하는 12가지 키워드 (2) 2023.10.30 디자인과 인간 심리 (0) 2023.09.12